1. 돌봄의 의미
돌봄이라고 하면 왠지 전문화와 왠지 상충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돌봄을 하는 직업은 전문직인가라는 의심을 가지게 된다.
이는 돌봄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에 대하여 박은혜(2023)는 영유아 교사직은 전체 교사의 98%가 여성인 대표적인 직업이고 가부장적 가치관이 우세한 사회에서 여성이 하는 일을 미숙련이나 반숙련 노동으로 평가절하하는 사회적 인식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사회적인 성(gender)이 강조되는 가부장적인 패러다임에서 여성 특유의 능력이 필요한 돌봄의 영역에 대하여 가치 절하해 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돌봄에 대하여 그 전문성이 점점 인정받게 되고 있다. 돌봄의 개념을 단순하게 남에게 호의를 베푸는 태도나 감정이라고 본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돌봄을 당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최선의 것이 무엇인지를 그 사람의 입장에서 지속해 고려하고, 그 최선의 것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쏟는 일이라고 정의한다면 돌봄이라는 것은 상당한 노력과 수고가 들어가는 공적인 행위이며, 기존의 전문직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전문적인 영역이 되는 것이다.
영유아 교사가 행하는 돌봄은 관계 속에서 이해하며 다음과 같은 공적인 성격으로 이해될 때 전문적 영역이 될 수 있다.
① 돌봄이란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돌보는 사람과 돌봄을 당하는 사람이 존재하는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② 어떤 사람을 돌보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주의 깊게 듣고, 보고,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③ 다른 사람의 문제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은 나를 떠나서 상대방의 요구와 감정에 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돌보는 사람이 피곤하거나 돌봄을 당하는 사람의 요구가 적절하지 않다면 그 요구나 필요가 무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에서 돌보는 사람들은 돌봄을 당하는 사람의 요구가 정당하지 못할 때 왜 그러한 요구를 하게 되었는지도 고려한다.
④ 돌봄이란 돌봄을 당하는 사람의 요구에 어떻게 반응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고민하고 그 요구를 들어주기 위한 방안을 포함한다.
2. 전문성 기준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학자들이 제시한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Katz(1987)
① 사회적 필요성(social necessity)
② 대상자 중심의 직업에서 오는 이타주의(altruism)
③ 상황과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자율성(autonomy)
④ 역할 수행 중 개별 아동의 특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며 윤리적인 자세를 가져야 하는 윤리강령(code of ethics)
⑤ 정확한 관찰 등에 필요한 객관성 유지를 위한 대상으로부터의 심리적 거리(distance from client)
⑥ 보편적인 서비스의 주체로서 지식이 바탕이 되는 과업 수행의 기준(standard of practice)
⑦ 전문적인 자질을 갖추기 위한 장기간의 훈련(prolonged training) 및 새로운 정보의 기회
⑧ 특수화된 지식(specialized knowledge)
- 이은화 외(1995)
① 고도화된 지적 능력: 보육의 올바른 목적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영유아기 발달 상황에 맞는 교육 내용을 선택·조직하며, 이에 따라 영유아의 성장과 행동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돕는 능력
② 사회에 대한 기여
③ 장기간의 사전교육과 계속 보수교육
④ 자율성
⑤ 전문직 단체 결성
⑥ 보육교사가 지켜야 할 윤리강령
- 양옥승 외(1997)
① 학문에 대한 기초 지식에 대한 이해
② 사명감 및 교사로서의 자신감 형성
③ 영유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④ 윤리강령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⑤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
⑥ 영유아와 가족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대한 이해
3. 영유아교사는 전문직인가?
사회에서 전문직이라 할 때는 전문적인 지식과 이를 소화할 수 있는 지적인 능력, 자격증, 자율성, 사회적인 지위와 경제적 보상, 윤리강령, 자신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단체 등의 특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지식, 자격 기준, 자율성 측면에서 더 갖추어야 하는 부분이 있다고 보고 영유아 교사를 준전문가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에서는 개선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영유아 교사직을 전문가로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영유아를 보호하고 교육하는 일이란 책임과 관련되고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문직으로 보고 있다. 자신의 신념과 직업윤리뿐만 아니라 보육 대상의 기대와 사회적 기대까지 고려해야 하는 이중의 임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로 볼 수 있다. 영유아 교사들은 오랜 기간 동안 이론과 실제의 경험을 통해서 형성된 전문가적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 신념을 토대로 많은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있다.
따라서 영유아 교사의 직무수행은 특수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의 정의에 부합하며, 전문가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직으로서의 영유아 교사에 대한 자신의 견해는 아래의 내용을 통하여 검토해 볼 수 있다.
① 영유아 교사들은 그들의 근무 활동에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
② 영유아 교사들은 높은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③ 다른 직업과 비교해 볼 때 영유아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기간의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④ 영유아 교사들은 사회에 필수적인 활동을 제공한다.
⑤ 영유아 교사들은 자신 스스로를 감독할 수 있다.
⑥ 전문가협회는 영유아 교육에 상당한 힘과 영향력을 행사한다.
⑦ 영유아 교사들은 일반 대중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지식과 기술을 소유하고 있다.
⑧ 영유아 교사들은 국민에게 많은 신뢰를 받고 있다.
⑨ 영유아 교사들은 상당한 특권과 이익 혹은 보수를 제공받는다.
영유아 교사직은 전문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위 기준을 살펴보면 보충해서 발전해야 할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공인숙, 권기남, 권혜진, 김영주, 김진욱, 민선영, 민하영, 박초아, 이성옥, 이완정, 최지현(2022). 보육교사 인성론. 서울: 학지사.
박은혜(202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영유아교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모든 것(정의, 비용 및 비용지원 등) (0) | 2024.01.25 |
---|---|
보육교사 채용 방법 및 임면 구비서류(성범죄 및 아동학대관련 범죄전력조회 방법 포함) (1) | 2024.01.24 |
유치원 교사 헌장 및 윤리강령, 교원단체 종류 (0) | 2024.01.23 |
보육교사 윤리강령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4.01.23 |
보육이란 무엇이고, 보육교사란 무엇일까요?(특징, 역할, 자격) (0) | 2024.01.23 |